[공개] 경상북도 소지역 및 중진료권 단위 건강통계: 건강격차와 변화추이 > 연구보고서

본문 바로가기

logo

연구보고서

검색

[공개] 경상북도 소지역 및 중진료권 단위 건강통계: 건강격차와 변화추이

연구책임자윤소연

보고서번호2022-02

발행연도2022

저자이경수, 윤소연, 강민정, 이명화, 강예지

페이지 정보

본문

목차
요약

요약(주요결과) 10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6

제2절 연구 목적 17


제2장 연구 내용 및 방법 18

제1절 자료원 개요 20

제2절 건강지표 선정 24

제3절 분석내용 및 방법 26


제3장 경상북도 읍·면·동 단위 건강격차 및 변화추이 28

제1절 인구사회학적 특성 30

제2절 건강행태 42

제3절 의료이용 58

제4절 건강결과 70


제4장 경상북도 중진료권 단위 건강격차 및 변화추이 84

제1절 관내 의료이용률(RI) 86

제2절 기준시간 내 의료이용률(TRI) 98

제3절 건강결과 112


제5장 부록 및 참고문헌 126

부록 128

참고문헌 135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읍··동 단위의 소지역 및 중진료권 단위 건강지표 분석을 통해 지역 간 또는 지역 내 건강격차와 현황, 변화추이에 대해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통해 경상북도민의 건강형평성 제고 및 건강권 보장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연구결과를 도민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지역의 건강문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된 자료로 제공하고, 보건사업의 자원 배분 및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근거 중심의 지역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분석을 진행하였다. 건강지표 선정을 위해, 우선 국가승인통계 등의 주요(핵심) 지표를 비교 검토 하고, 경상북도 내 건강 문제의 크기와 심각도, 정책 추진 방향, 활용성을 반영하여 선발하였고, 마지막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최종 건강지표를 선정하였다. 즉, 소지역 단위 지표는 23개 지표,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중진료권 단위 지표는 17개 지표, 2가지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첨부파일

첨부파일 2022-02 경상북도 소지역 및 중진료권 단위 건강통계_건강격차와 변화추이_공개용.pdf (38.3M) 다운로드 download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