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본문
요약 1
제1장 서론 20
제1절 조사 필요성 및 목적 21
제2절 조사 개요 23
제2장 표본설계 26
제1절 표본지역 선정 27
제2절 표본설계 33
제3장 조사내용 36
제1절 조사 문항 37
제2절 조사 방법 39
제3절 자료 처리 43
제4절 응답자 특성 49
제5절 조사 결과 해석 시 유의사항 51
제4장 조사결과 52
제1절 건강수준 및 행태 52
제2절 보건의료서비스 이용경험 94
제3절 공공병원 및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121
제4절 경상북도 북부지역 기초분석 주요결과 150
제5장 심층분석 152
제1절 경상북도 북부지역 보건의료기관 및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154
제2절 경상북도 북부지역 보건의료기관 접근성 159
제3절 경상북도 북부지역 의료서비스 만족도 163
제4절 건강관련 삶의 질(HINT-8) 비교 166
제5절 개인/지역의 건강관리를 위해 필요한 것 168
제6절 소결 168
제6장 경상북도 북부지역 의료격차 완화를 위한 제언 174
제1절 전략 및 추진과제 175
제2절 연구의 의의 181
제3절 연구의 제한점 183
참고문헌 184
부록. 설문지 185
본 연구는 지역의료가 취약한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의료접근성 및 미충족의료 현황을 확인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북부권을 포함한 경상북도 전체 보건의료 현황과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경상북도 맞춤형 전략을 모색하고자 진행하였다. 인구규모와 접근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중진료권 중심으로 북부권(안동권, 영주권, 상주권)과 남부권(포항권, 경주권, 구미권)으로 구분하고,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중년과 노년을 대상으로 고령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보건의료 기초조사 자료를 생산하고자 진행하였다. 조사 1차년도(2023년)에는 6개 중진료권 중 북부지역 3개 중진료권을 중심으로 총 300명의 패널을 구축하였다.